--구글 에드센스-->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기존의 핵심가치는 경제적 효율성으로, 합리적인 소비자는 가격, 품질, 상표 등을 토대로 경제적 효율성을 자기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상품을 선택하고자 한다.
가치는 일반적으로 좋은 것, 값어치 있는 것, 유용한 것으로, 인간의 욕구나 관심을 충족시키는 것이며 소비자가 내적으로 지닌 가치는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근거라고 볼 수 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소비윤리로서 소비자가 고려해야 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으로서의 핵심가치는 무엇인가?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공유되고 있는 핵심적인 소비윤리 가치를 나타낸 것으로, 안전 및 건강, 환경, 인권, 동물복지, 지역공동체이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 있다.
1. 안전 및 건강
- 개인과 가족의 신체적, 생리적 안전과 건강을 우선
- 웰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와 유기농에서 나아가 친환경상품에 대한 관심과 추구를 강조
2. 환경
- 자원의 고갈과 생태계 환경오염 및 파괴로 인한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등으로 자연생태환경에 문제를 야기하며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둔 가치
- 천연자원의 고갈, 자연생태환경의 오염 및 파괴를 막고 보호 및 보존에 중요성을 둠
3. 인권
-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 판매하는 과정에서 이와 관련된 노동자들의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당연한 기본적 권리를 강조하는 가치
- 소비행동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에서 관련된 모든 타인에 대한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치
- 제 3세계의 노동자의 생산활동 과정에서 행해지는 노동착취, 부당한 노동대가 등 착취적 노동조건에 관심을 둔 가치로 생산자의 생산활동에 합당한 비용이 생산자에게 지불됨으로써 생산자의 탈빈곤, 경제적 자립, 부의 분배 기여에 중요성을 둔 가치
- 아동 특히 제 3세계 아동에 대한 노동 및 착취 금지에 초점을 둔 가치
- 판매 접점에서 소비자가 접하는 감정노동자의 인가으로서의 기본적 권리를 고려한 소비자의 자세, 태도 및 행동에 초점을 둔 가치
4. 동물복지
- 동물 보호 및 배려에 초점을 둔 소비윤리 가치
- 동물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거나 공장식 사육, 동물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등 동물학대를 반대하고 금지하는 것에 중요성을 둠
- 인간과 같은 생명체로서의 동물에 대한 존중과 배려에 초점을 둔 것
5. 지역공동체
- 소비자 개개인이 혼자 살아가는 존재가 아닌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지역공동체 차원에서 사회 정의 및 사회연대를 강조하는 가치
- 지역 사회를 지원하고 지지하며, 나아가 경제적, 사회적으로 지역사회 살리기를 실현하는 가치
- 지역에서 생산된 상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거나 지역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의 상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는 것에 초점
아래의 게시글은 소비윤리의 개념에 대한 내용정리이니 참고바란다.
https://smartconsume100.tistory.com/6
소비윤리란?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빈곤 및 빈부격차 등의 지속가능성에 관련된 문제들로 부터 우리는 위협을 받으며 해소되기를 바라지만 현재의 흐름대로 생산되고 소비된다면 오히려 더 악화될 것이라..
smartconsume100.tistory.com
윤리적 소비행동(구매, 사용, 처분, 자원배분)과 내용 (0) | 2020.04.29 |
---|---|
윤리적 소비란? (0) | 2020.04.28 |
영역에 따른 소비윤리 구분 ( 경제 / 법 / 생태환경 / 사회 ) (0) | 2020.04.25 |
소비윤리의 차원에 따른 구분 ( 종적 차원 / 횡적 차원 / 상거래 차원 / 시장경제 차원 ) (0) | 2020.04.25 |
소비윤리란? (0) | 2020.04.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