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에드센스-->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윤리적 소비란?

소비관련 이론 소개/윤리적 소비

by 천채페르소나 2020. 4. 28. 00:47

본문

 

소비윤리가 소비행위에 대한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윤리적 판단기준을 의미하는 개념이었다면 윤리적 소비는 일상 소비생활에서 소비윤리를 실천하는 소비자의 소비행동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윤리적 소비라는 개념의 등장은 1990년대 많은 사람들로부터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지만 최근 우리 사회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윤리적 소비는 개념적으로 대부분 켈리건과 아탈라(2001), 크레인과 매튼(2003), 바넷트 외(2005)의 정의에 기반하고 있다. 켈리건과 아탈라가 말하는 윤리적 소비의 정의는 "도덕적 신념에 따라 의식적이고, 신중한 선택을 하는 것"으로 도덕적 신념은 인권, 사회정의, 환경, 동물복지와 관련된다. 크레인과 매든 또한 윤리적 소비를 "개별적, 도덕적 신념에 따라 소비를 선택하는 의식적이고 신중한 소비선택행동"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바넷트 외는 윤리적 소비를 '소비 자체에 대한 통제'로 보고 구매 실천만이 아닌 보다 확대된 범위에서의 소비자의 사회적 실천을 강조하였다. 이 셋의 정의를 종합하면 윤리적 소비는 인권, 환경, 동물, 사회정의와 같은 다양한 가치 측면에서 소비자의 '개별적, 도덕적 신념'에 기초한 의사결정을 토대로 한 절제된 소비선택행동이다.

 

우리나라의 경제연구소 중 하나인 한겨레경제연구소(2009)는 윤리적 소비를 개인적이고 도덕적인 믿음에 근거한 의식적인 소비선택으로, 당장 자신에게 경제적인 이득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장기적이고 이웃을 고려하며 자연환경까지 생각하는 관점에서 내리는 구매 선택으로 정의하였다.

 

윤리적 소비는 소비의 전과정과 다양한 일상 소비생활의 경제적, 법적, 생태환경적, 사회적 영역에서 안전 및 건강, 환경, 인권, 동물복지, 지역공동체의 핵심가치와 종적 차원, 횡적 차원, 상거래 차원, 시장경제 차원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도덕적 신념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소비행위이다. 이에 대한 내용들과 자세한 설명이 있는 게시글을 본글의 맨아래에 링크로 걸어두었으니 참고바란다.

 

결론적으로 윤리적 소비는 소비의 전 과정과 다양한 일상 소비생활에서 소비자 자신의 소비행위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인간, 환경,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개별적, 도덕적 신념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소비행동으로 새인의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인간과 환경 그리고 사회의 지속가능성까지 구현하는 소비 실천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https://smartconsume100.tistory.com/7

 

소비윤리의 핵심가치에 따른 구분 ( 안전 및 건강 / 환경 / 인권 / 동물복지 / 지역공동체 )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기존의 핵심가치는 경제적 효율성으로, 합리적인 소비자는 가격, 품질, 상표 등을 토대로 경제적 효율성을 자기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상품을 선택하고자 한다. 가치는 일반적으로..

smartconsume100.tistory.com

https://smartconsume100.tistory.com/8

 

소비윤리의 차원에 따른 구분 ( 종적 차원 / 횡적 차원 / 상거래 차원 / 시장경제 차원 )

소비행동의 도덕적 판단 기준이 되는 소비윤리를 네가지 차원인 종적 차원, 횡적 차원, 상거래 차원 그리고 시장경제 차원으로 구분 할 수 있다. 1. 종적 차원의 소비윤리 : 환경과 다음 세대를 고려한 소비 등..

smartconsume100.tistory.com

https://smartconsume100.tistory.com/9

 

영역에 따른 소비윤리 구분 ( 경제 / 법 / 생태환경 / 사회 )

소비윤리가 적용되고 준수되어야 하는 범위는 소비자로서의 역할이 수행되는 영역인 소비행동 영역에 따라 구분해 볼 수 있다. 소비윤리를 실천하는 소비행동을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소비행동으로 보며 소비의..

smartconsume100.tistory.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